“정신질환자 취급 후 면직” – 한국 천주교회, 내부 고발자에게 내린 징벌
천주교 대구대교구가 심기열 신부를 공식 면직하면서, 한국 천주교 내 권위주의적 통치 방식과 내부 비판에 대한 억압 구조가 다시 도마에 올랐다. 심 신부는 ‘성직자의 책임과 교회 개혁’을 요구했다가 교구로부터 정신질환자로 몰렸으며, 사전 경고 없이 면직 통보를 받았다.
■ “문제제기를 했더니 정신병자로 몰렸다”
심기열 신부는 2023년부터 교구와 교구장(조환길 대주교)을 향해 성직자의 권력 남용, 성범죄 사건 은폐, 교회 재정의 불투명성을 비판해 왔다. 그는 자신의 SNS를 통해 “가해자 편에 서는 교회가 아니라, 약자와 피해자의 편에 서야 한다”고 꾸준히 주장해왔다.
하지만 교구의 반응은 예상과 달랐다. 심 신부에 따르면, 교구는 2024년 심 신부를 정신과 진단을 받게 했고, 이후 이를 근거로 사목 활동을 제한했다. 그가 받은 정신과 진단은 ‘경계선 인격장애’였으며, 면직 결정서에도 이 사실이 언급되었다.
“나는 교구의 권위주의와 비윤리성을 문제 삼았는데, 그 결과는 정신질환자 낙인이었다.” – 심기열 신부, SNS 발언 중
■ 면직 통보, 절차도 이유도 투명하지 않았다
2025년 5월, 심 신부는 어떤 공식 청문도 없이 갑작스럽게 ‘성직자 의무 불이행’을 이유로 교황청의 승인을 거친 면직 처분을 통보받았다. 그 어떤 해명 기회도 없이 내려진 조치였다.
반면, 한국 천주교회는 성범죄 혐의가 있는 성직자에 대해서는 수년간 조사를 미루거나 교구 간 전근 등으로 사실상 보호해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중잣대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성범죄 가해 신부는 몇 년이 지나도 전근시켜 주면서, 내부비판한 신부는 즉시 면직. 이것이 한국 천주교의 현실이다.” – 천주교 개혁단체 관계자
■ 정신질환 프레임, 교회 내 비판자 제거에 악용?
가톨릭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직자의 순명(절대 복종)을 강조하는 체계다. 하지만 이 순명이 양심에 따른 문제제기조차 억누르는 도구로 사용될 때, 내부 비판은 곧 ‘불순한 공격’이나 ‘비정상적 언행’으로 취급된다.
전문가들은 ‘정신질환 낙인’이 권위 구조 내에서 내부 고발자를 침묵시키는 수단이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게다가 이런 낙인은 교회 외부에서도 신뢰를 떨어뜨리는 결과로 이어진다.
“심 신부는 분명히 문제 제기와 개혁을 말한 것이지, 해악을 끼친 게 아니다. 그를 정신병자 취급한 것은 인격살인이자 교회의 자기 파괴다.” – 익명의 사제
■ 교황청은 어떤 입장을 취했는가?
면직은 교황청의 승인을 거쳐 이루어졌지만, 문제는 그 과정에 피해 당사자의 소명 절차, 교회법적 절차가 제대로 작동했는지 여부다.
현재까지 교황청은 이 사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며, 레오 14세 교황이 취임한 이후에도 교회 내 표현의 자유와 내부 비판 수용에 대한 변화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
■ 한국 천주교의 구조적 문제
이 사건은 단순히 한 신부의 운명으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
다음과 같은 교회 구조의 문제점이 드러난다:
- 비판을 불순종으로 간주하는 권위주의
- 성범죄·비윤리 행위에는 관대, 내부 비판에는 무관용
- 정신질환 프레임을 이용한 반대자 제거
- 절차 없는 면직 및 정보 비공개
- 교회 개혁과 투명성에 대한 조직적 저항
심기열 신부의 면직 사건은 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누가 교회에서 말할 수 있는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진다.
만약 교회가 비판의 목소리를 정신질환으로 낙인찍고, 절차 없이 면직하는 구조를 유지한다면, 그것은 스스로를 갉아먹는 폭력이며, 신자들의 신뢰를 배신하는 행위다.
한국 천주교회는 지금, 스스로를 되돌아봐야 할 때다.
과연 ‘정의와 진실’은 어디에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