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더 테레사, ‘빈자의 성녀’ 뒤에 숨겨진 고통과 진실

 

출처: 성인의 반열 오른 마더 테레사…'거짓 성녀'다?

 

 


마더 테레사.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이름입니다. ‘빈자의 성녀’라는 아름다운 수식어와 함께 전 세계적인 존경을 받았고, 2016년 가톨릭 성인으로 시성되었죠. 하지만 그 빛나는 명성 뒤에는 우리가 결코 외면해서는 안 될 또 다른 진실이 숨어 있었습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그녀의 행적에 숨겨진 어두운 이면과, 그로 인해 고통받은 이들의 목소리를 진지하게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죽어가는 이들의 집’ – 돌봄이 아닌 방치
마더 테레사가 1952년 인도 콜카타에 세운 ‘죽어가는 이들의 집’은 거리에서 죽어가는 빈민을 거두어 돌보는 곳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실제 현장은 그리 아름답지 않았습니다. 1994년 저명한 영국 의학저널 ‘란셋’ 편집장 로빈 폭스가 직접 방문해 보고 내린 평가는 충격적이었습니다. 의료 돌봄은 ‘즉흥적’이고 ‘엉성’했으며, 환자 진료에 전문 의사가 거의 참여하지 못했고 의료 지식이 부족한 수녀들과 자원봉사자들이 임의로 치료를 결정했다고 합니다.

더욱 문제는 환자들의 통증 완화였습니다. 말기 암 환자들조차 강력한 진통제를 전혀 받지 못하고 아스피린 정도에 그쳤고, 주사 바늘을 물로 헹궈 재사용하는 비위생적인 환경이 만연했습니다. 한 15세 소년 환자는 신장 수술만 받으면 살 수 있었지만, 항생제 투여와 병원 이송이 거부되어 결국 목숨을 잃었습니다.

마더 테레사는 이 시설을 ‘죽어가는 이들의 집’이라 부르며, 환자들이 ‘천사처럼 사랑받으며 죽을 수 있게’ 도운다고 했지만, 현실은 고통 속에 방치된 죽음의 현장이었습니다. 누군가는 이곳에서 최소한의 치료조차 받지 못한 채 생을 마감해야 했습니다.

2. 고통의 미화 – ‘고통은 아름다운 것’이라는 신념
마더 테레사의 의료 소홀에는 그녀만의 독특한 철학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고통을 신성한 영적 의미로 승화시키며, 환자들에게 ‘자신의 고통을 그리스도의 수난과 함께 나누는 것’이 아름다운 일이라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그녀는 자원봉사자들에게 환자에게 고통의 의미를 설득하라고 지시했으며, 말기 환자에게 진통제 한 알조차 주지 않는 일이 잦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마더 테레사 본인은 심장병 등 자신의 병을 유럽 최고 의료기관에서 치료받으며 고통을 적극적으로 덜었습니다. 자신이 고통을 신의 선물이라 여기면서도, 정작 자신의 건강에는 현대 의학을 선택한 이중적인 태도는 많은 이들에게 충격을 주었습니다.

3. 막대한 기부금, 어디로 갔나? – 불투명한 재정 운영
마더 테레사의 자선사업은 전 세계에서 막대한 기부금을 모았습니다. 하지만 그 돈이 진짜 가난한 이들에게 제대로 쓰였는지에 대한 의문은 오래전부터 제기돼 왔습니다. 1991년 독일 시사잡지 ‘슈테른’의 조사에 따르면, 모금된 기부금 중 겨우 7%만이 빈민 구호에 사용되었고, 나머지는 대부분 바티칸이 관리하며 행방이 불명확했습니다.

뉴욕 브롱크스 모금 사무소 계좌에는 한 해 5천만 달러 이상이 쌓인 적도 있었지만, 에티오피아 기근 구호금은 현지에 전달되지 않았다는 내부 폭로가 나왔습니다. 기부자들에게는 ‘에티오피아용’ 영수증만 발급했을 뿐, 실제 돈은 바티칸 은행으로 흘러갔고 굶주린 이들은 도움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처럼 거액의 기부금이 쌓여가도 실제 현장에는 돌아가지 않은 현실은 자선사업의 근본 윤리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일입니다.

4. 권위주의와 독선 – 환자의 권리보다 신념 우선
마더 테레사는 가톨릭 교리에 근거해 자신의 구호사업을 엄격히 운영했습니다. 임종 환자에게 몰래 가톨릭식 세례를 주고, “천국행 티켓을 드릴까요?”라고 묻는 등 무언의 개종을 강요하는 지침까지 있었습니다. 또한 낙태, 피임, 이혼에 대한 반대 입장을 고수하며 산아 제한의 필요성을 끝내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교조적 태도는 빈곤과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현실적 권리와 선택권을 무시하는 것으로, 몬트리올 대학 연구진은 이를 ‘빈자의 인권 침해’라고 평가했습니다.

5. 독재자와 부정 권력자와의 유착 – 도덕적 진정성에 의문
마더 테레사는 독재자 장클로드 뒤발리에, 언론재벌 로버트 맥스웰, 그리고 사기범 찰스 키팅 등 부정한 권력자들과 친분을 맺고 그들의 기부를 받았습니다. 특히 키팅으로부터 수백만 달러를 받은 뒤 재판부에 탄원서를 보내 그의 선처를 호소했으며, 피해자들의 돈이라는 사실이 알려져도 반환하지 않았습니다.

이 같은 행태는 가난한 이들의 고통에는 무관심하면서 권력자들과는 유착하는 이중성을 보여줍니다. 이는 마더 테레사의 도덕적 진정성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6. 성인인가, 사이코패스인가? – 재평가가 필요한 마더 테레사상
마더 테레사는 평생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헌신한 성녀로 기억되어 왔지만, 그 이면은 복잡하고 어두웠습니다. 고통을 방치하고 미화하며, 막대한 기부금을 불투명하게 운영하고, 자기 신념에 갇혀 타인의 권리와 생명을 무시했습니다. 독재자와 범죄자와의 유착은 그녀의 도덕적 위선을 드러냅니다.

일부 비평가들은 그녀를 ‘광신자이자 사기꾼’, 나아가 ‘사이코패스’에 가깝다고 평가하기도 합니다. 피해자들의 고통과 억울함을 외면한 채, 단편적인 이미지에만 매몰되어서는 안 됩니다.

마무리하며 – 피해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
마더 테레사가 남긴 빛나는 업적만큼이나, 그 이면에 숨겨진 어두운 진실도 냉철히 돌아봐야 합니다. 그녀의 이름으로 고통받은 이들의 목소리를 듣고, 왜곡된 신화 뒤에 가려진 현실을 직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진정한 자선과 봉사는 고통을 미화하거나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고통받는 이들의 삶과 권리를 존중하고 실질적 도움을 제공하는 데서 시작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참고 자료

  • Robin Fox, “Mother Teresa’s care for the dying,” The Lancet 344 (8925), 1994 – 마더 테레사의 시설에서 관찰된 열악한 의료 실태 보고en.wikipedia.orgen.wikipedia.org.
  • Rashad Mammadov, “Mother Teresa: Good Intentions to Controversy,” News-Decoder, 2019 – 마더 테레사의 독재자 연루, 기부금 논란 및 고통 미화에 대한 언급news-decoder.comnews-decoder.com.
  • Serge Larivée , “Les côtés ténébreux de Mère Teresa,” Studies in Religion/Sciences Religieuses 42(3), 2013 – 마더 테레사에 대한 학술적 비판 연구 (몬트리올 대학)​en.wikipedia.orgnews-decoder.com.
  • Walter Wuellenweber, “Mother Teresa: Where are her millions?” Stern (독일 시사잡지), 1991 – 마더 테레사 재정 조사 기사 (영국 Butterflies & Wheels 웹사이트에 발췌 번역)​butterfliesandwheels.orgbutterfliesandwheels.org.
  • Michael Parenti, “Mother Teresa, John Paul II, and the Fast-Track Saints,” History News Network, 2016 – 마더 테레사의 금전 및 의료 태도를 비판적으로 정리한 칼럼historynewsnetwork.orghistorynewsnetwork.org.
  • Christopher Hitchens, The Missionary Position: Mother Teresa in Theory and Practice, 1995 – 마더 테레사에 대한 대표적인 비판서. Hitchens는 그녀를ATIC이자 FUNDAMENTALIST, fraud”라고 혹평했다myvoice.opindia.com (국내 번역서 선의의 독재자, 2003).